인풋 하는 방법 . 공부하는 네 가지 방법
책 ,사람 ,강의, 진짜 실행
1. 인풋을 늘리기 위해서 우리가 제일 먼저 해야 될 건 독서 ,책을 많이 읽어야된다.
모든 것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직접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 경험을 늘릴 수 있는 그중에 가장 좋은 방법이 독서다.
2. 내가 관심 있는 그 분야의 전문가를 만나야한다.
재미있는 거는 전문가가 드러난 전문가도 있지만 드러나지 않는 고수들 굉장히 많다.
그 고수들을 만나면 인생이 또 달라져요.
3.그분들의 강의를 들으셔야 한다.
온라인에서 할 수 있는 이 강의들을 여러분 많이 들으셔서 네트워킹을 하셔야 돼요 .재미있는 거는 그분들을 직접 만나면 책에 없는 내용들이 훨씬 더 많아요.
비하인드 스토리죠 어떻게 보면은 번 외전 그 번 외전에서 그분들의 진가가 발휘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책도 읽고 사람도 만나고 강연까지 들어서 내가 관심 있는 그 분야에 인풋이 쌓였다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좀 생긴다음에는
4.진짜실행. 끼워드셔야 돼요.직접 퐁당 뛰어드셔야 돼요 그래서 머릿속으로 채워졌으니 가슴도 따뜻해졌으니 손가발을 움직이셔야죠.
손가발을 움직여서 직접 뛰어들면서
이 문제를 하나씩 하나씩 해결해 보고 그 업을 내가 하나씩 하나씩 경험해 보는 거예요.
이 일을 경험하기 전까지는 이게 나한테 맞는지 안 맞는지 몰라요. 해보면 알아요.
문제를 해결하면서 돈도 버니까 의미 있는 일을 하게 되는 거죠.
📕네 가지 방법 더 알아보기
지식 지혜 경험을 드리는 가장 좋은 인풋은 독서이다. 젊은 시절에 여러분 무한대로 책을 읽는 걸 하셔야 되요.
20대에 천 권을 읽으라고 이야기해요.
천 권 20대에 천 권을 읽으면 여러분 어떻게 돼요.
머릿속에서 융합이 이루어져요. 머릿속에서 이게 연결이 돼요.
우리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때 가장 중요한 사고 방식을 두 가지 이야기하죠.
키워드가 컨버전스 하이퍼 커넥티비치 근데 융합하고 연결이 안 되는 이유가 있어요.
나는 융합하고 연결하고 싶은데 왜 안 돼 안 되는 이유는 뭐예요.
내 것밖에 모르니까 .내 것만 알면은 융합과 연결이 안 되죠. 남의 거를 알아야 돼. 그래서 어떻게 해야 된다고요?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을 통해서 답을 얻어가는 걸 해야 된다.
내가 모르는 남의 영역들을 다 간접 경험을 통해서 하나씩 하나씩 쌓아가야 됩니다.
📒 목표를 정할 때 어떻게 보면은 굉장히 현실적인 목표를 정하는 게 중요
최소 일주일에 책 두 권 이상은 읽자 여러분의 그런 목표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년에 책을 100건 이상씩 읽고
10년이면 어때요 1천 권이죠. 그렇게 되면 여러분 머릿속에서 막 돌아갑니다. 나이가 좀 더 들면은 많이 읽는 것도 중요한데 두 번 세 번 네 번 읽는 게 더 중요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그거는 여러분에 맞게 읽으시는 게 제일 좋습니다.
그래서 20대 천권 독서 30대 천권 독서 40대 500권 독서 괜찮아요.
1년에 100번씩 도전을 갖다가 시작하는 거 굉장히 좋고 뭐부터 해야 되냐 관심 있는 분야부터 하셔야 돼요 고전을 포함해서 내가 관심 있는 영역이 4가지다 그러면은 4개 카테고리에서 25건씩 정하면 돼요 아니면 나는 관심 있는 회사 10개다
10분야에서 10권씩 정하면 돼요 한 분야에서 20권 30권 읽으면 어떻게 돼요.
전문가하고 이야기해도요 전혀 밀리지 않아요. 전문가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내공이 생겨요.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을 하고 정리하셔야 돼요 . 책을 많이 읽었는데 기억이 하나도 안 난다.
기억이 안 나는 이유는?
정리를 안 해서 , 떠들어야 돼요.
🔖지식의 5단계
첫 번째 단계는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거를 남한테 설명할 수 있는 것. 머릿속에 지식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으면 여러분 설명할 수 없어요.
남한테 조리 있게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면 머릿속에 지식이 체계화되어 있어야되고.정리하는 훈련을 해야 돼요. 정리할 때는 y와 하우는 뭐예요. 이 책의 저자가 왜 이 책을 썼을까?어떤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 이 책에 썼을까 정리하는 거예요.
🔖두 번째 콘텐츠: 도대체 무슨 내용이 이 안에 담겨 있는 거지 콘텐츠를 보려면 목차를 확인하는 거죠.
이런 내용으로 구성이 돼 있구나
세 번째 읽었어 : 내가 읽고 한 것들을 적용을 해야 되겠죠.
실제로 이 사람의 의도에 의해서 내가 책을 읽었고 그 의도를 잘 파악했고 그래서 나는 어떻게 살겠다.
어떤 걸 적용하겠다 한 가지라도 좋으니까,
여러분의 삶에 적용하는 훈련들을 하셔야 됩니다. 이게 뭐예요. 와이 y 하우 적용이에요.
세 가지 형태로 한 장으로 정리하시면은 여러분 1년에 100장이면 돼요. 여러분들 꼭 그렇게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독서 리스트를 만드는 거
독서 리스트 만들어놓고 읽었으면은 정리하고 이런 걸 꾸준하게 해보시면은 좋지 않을까
그래서 관심 분야 호기심 분야 그리고 여러분이 전공 분야 더 깊이 알아야 될 분야죠 .그리고 고전 이런 식으로 50권이면 50건 30권이어도 괜찮아요.
여러분 분량에 맞게 여러분의 역량에 맞게끔 너무 욕심 내지 마시고 할 수 있는 부분들 먼저 도전하셔서 하나씩 하나씩 켜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두 번째는 우리가 관심 있는 그 분야에 내가 실제로 호기심 있는 그 분야의 고수를 만나는 거야 사람을 만나면요.
그 사람의 인생이 걸어온다고 이야기했잖아요.
수없이 많은 그 사람의 지혜와 지식과 경험과 네트웍이 나한테 다가오는 거거든요.
그들이 이야기한 것들이 무엇인가?
왜 이런 이야기를 나한테 하는 것인가?
내가 관심 있는 그 분야에 먼저 뛰어들어서 그걸 경험했던 분이라면 더더욱 만나보셔야 돼요. 만나고싶은 사람' 리스트를 작성해라.
만나고싶은 사람이 있다면 인물을 탐색을 해야 됩니다. 이 사람이 쓴 책이 있는지 논문이 있는지 아티클이 있는지 신문 기사가 있는지 그리고 만나서 내가 무엇을 물어볼 건가 질문을 준비하셔야 돼요 . 들이대기 하셔야 돼요.
카카오톡 찾아보고 페이스북 찾아보고 인스타 찾아보고 팔로우 하고 문자 보내고 그리고 이 사람을 아는 지인이 있는지 확인하고 소개해달라고 요청하시고 그리고 이분들이 하는 강연에 가셔야죠 ! 가서 만나고 개인적인 친분을 쌓아가셔야 됩니다.
관심 분야, 업무 분야 ,전공 분야의 고수를 꼭 만나셨으면 좋겠다.
여러분이 관심 있는 그 분야에 최고의 석학 최고의 실행가 최고의 전문가 최고의 실제로 이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 사람이 누군가 그 사람들을 만나면서 여러분의 인생이 바뀔 수도 있어요.
세 번째는 강연을 듣는 거예요. 내가 관심 있고 내가 전공한 분야에 최소 강의를 100개 이상 들으면 좋을 것 같아요.
여러분이 관심 있는 그 분야의 강의를 들으면서 곱씹어 보고 또 곱씹어 보고 그러면서 여러분만의 방식을 만들어 보세요.
관심 분야의 이 강의 탐색을 해보시고 목표 설정 한 달에 몇 개 들을 건지 일주일에 몇 개 들 건지 하루에 몇 개 건지 불가능한 거 쓰지 마시고 달성 가능한 것보다 조금 높게 쓰세요.
그리고 강의 듣는 걸로 끝나지 마시고 강의를 들었으면 뭘 해야 돼요. 정리를 해야 돼요.
적는 사람이 나중에는 생존하면 이긴다
정리하는 훈련들을 많이 하셔야 돼요.
보고 듣고 깨달은 것들을 적용한 것들을 내가 쓰자 . 이것들을 잘 정리해 가시면 여러분만의 노하우가 쌓일 거라 생각이 들어집니다.
📚마지막은 직접 그 일에 끼어드는 거예요.
직접 뛰어들어서 그 일을 해보지 않으면 내가 모르는 거예요.
그래서 지혜와 지식과 경험을 늘리고 실제적으로 내가 책도 읽고 강연도 듣고 사람도 만나고 인풋이 늘어나긴 했지만 직접 그 일에 뛰어들어서 실행하고 성과를 내는 것까지 여러분이 해보셔야 됩니다.
그래서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셔서 여러분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요.
저 문제에 대해서 내가 공감하고 아파해서 같이 해결할 수 있을 임팩트를 주고 싶어요라고 하는 그 분야가 있다면은 책 읽고 사람 만나고 가게 듣고 직접 그 일을 해보세요.
그러면 여러분이 내공이 쌓일 겁니다.
그러면서 이게 내 천재성이 발휘될 수 있는 영역이 맞는지 아닌 것 같애라고 할 수 있는지 여러분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강의종료
#나다움17강
#MKYU
#인풋하는방법
#책#강의#사람#실행#끼어들기#책100권읽기
'미라클모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심리수업 (0) | 2022.03.27 |
---|---|
하루심리수업 ㅡ믿고 싶은 사실을 선택한다 (0) | 2022.03.24 |
신사임당 21강 인간관계에서 본전 뽑는 비법 (0) | 2022.03.20 |
비우기 챌린지 (0) | 2022.03.20 |
신사임당 강의 20강 너무지쳤다면 반드시 해야하는 3가지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