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이란? 무엇일까?
탄소 중립
[ carbon neutral ]
개인이나 회사, 단체가 배출한 만큼의 온실가스(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움직임의 하나다.
'넷 제로(net zero), '탄소 제로 (carbon zero)’라고도 한다.
여기서 탄소는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일컫는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고 배출량만큼을 상쇄하기 위해 나무를 심거나 석탄ㆍ석유 발전소를 대체할 에너지 시설에
투자하거나 자발적 감축실적(KCER)을 구매함으로써 상쇄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화석연료 사용 확대 정책을 뒤집고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2050년 탄소 배출량 제로(0) 실현을 공언하면서 탄소중립은 이제 세계적인 대세가 됐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중국과 일본에 이어 문재인 대통령도 2020년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선언했다.
산업계에선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다른 국가보다 탄소중립에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을 쏟아야 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온실가스를 다섯 번째로 많이 배출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 3개 업종에서만 탄소중립 비용으로 2050년까지 최소 40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산업계 전체적으론 800조~1000조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탄소 중립 [carbon neutral] (한경 경제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