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첫번째로 해외에서는
스페인 강에 설치돼 수면 위로 얼굴만 간신히 내민 아이 조각상이 눈길을 끌고 있다. 조각상은 현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선택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 Bilbao Bizkaia Kutxa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뉴스펭귄
스페인 빌바오(Bilbao) 네르비온(Nervión) 강에 수면 위 얼굴만 간신히 내밀고 있는 아이 형태 조각상이 지난달 설치됐다. 강 수위에 따라 작품 노출 면적이 달라진다. 기후위기 상황에 목숨이 위중한 젊은 세대를 표현했다.
이 작품을 제작한 예술가 루벤 오로즈코 로자(Ruben Orozco Loza)는 젊은이들의 삶이 현재 사회적 결정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 조각상을 설치했다고 최근 인스타그램에 밝혔다. 조각상의 이름은 '비하르(Bihar)', 바스크어로 내일을 의미한다.
두번째로 국내에서는
설치미술가 이경호 "기후 위기는 이제 일상의 영역"...'노아의 방주' 만든 이유
[이데일리 고규대 문화산업전문기자] 설치미술가 이경호 작가가 연이어 기후 위기를 주제로 한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작품명을 정확하게 소개하자면 ‘노아의 방주-오래된 미래, 서기 2200년 연미산에서...’입니다. 디자인을 한 기간 빼고 설치하는 데만 70일 남짓 걸렸습니다. 연미산 아래에서 중턱까지 기계 도움 없이 사람의 힘만으로 자재를 옮기느라 애도 많이 썼습니다. 자연과 함께 공존하자는 메시지를 잘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아 보람 있는 작품 활동이었습니다.”
이경호 작가는 1987년부터 2000년까지 프랑스에서 활동하다 귀국 후 미디어시티 국내외 미술제와 비엔날레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99년 50주년 기념 프랑스 파리 쌀롱 죤느 뼁트르 전에서 ‘Espace Paul Ricard’을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검은색 비닐봉지를 허공으로 띄우거나 바닥에 날리는 일명 ‘검은봉다리’ 연작을 선보였다. ‘검은 봉다리’는 유명 건축물인 프랑스 롱샹성당, 이탈리아 베니스의 산마르코 광장, 피사의 사탑, 베이징의 천안문 광장 등을 베경으로 만들어졌다. 건축물로 둘러싸인 도시, 산과 강이 보이는 자연 등에서 하늘에서 날리고 땅에서 뒹구는 ‘검은 봉다리’는 허무, 비판 등 다양한 형태의 무언의 메시지를 남긴다.

“검은 비닐봉지, 그러니까 슈퍼마켓에 물건을 담아주는 일반적 비닐봉지로 생태 운동의 주요한 모델로 제시하고 싶었어요. 다양한 장소에서 사진 혹은 드론 촬영으로 시리즈를 만들었죠. 비닐봉지는 인간의 일상에 함께하는데, 어느 나라는 투명하기도 어느 나라는 흰색이기도 하죠. 그 비닐봉지가 검은 ‘석유덩어리’로 보이는 게 아이러니한 일이죠.”
이 작가는 최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이 내다보이는 한 건물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작품을 구상하고 있다. 인터뷰 내내 이 작가의 컴퓨터에는 기후 변화의 현재와 곧 닥칠지 모를 암울한 미래를 이야기하는 영상이 이어지고 있었다. 이 작가는 베니스의 산마르코 광장에 거대한 빙하가 거꾸로 잠긴 형태의 작품, 넓은 들판에 빙하를 상징한 거울 형태의 설치미술 등을 하나씩 설명해갔다. 이 작가는 앞서 ‘창원조각비엔날레’에서도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작품으로 빙산이 녹고 있는 형태와 그 모습을 거울처럼 비추고 있는 지구를 형상화한 적도 있다.
“아이를 늦게 낳았어요. 아이를 위해, 미래의 후손을 위해 뭘 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기후 위기에 대한 고민이 더 깊어졌죠. ‘검은봉다리’ 연작도 아이와 함께 만들기도 했어요. 최근 기후 위기를 주제로 한 작품에 집중하는 이유도 미술가로서 메시지를 던지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죠.”
이 작가가 기후 변화에 대한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진 때는 ‘지구와 사람’이라는 이름의 포럼에 참석한 이후였다. 생태 문제에 관심을 가질 무렵 환경 변화, 기후 위기에 대한 충격적인 현실의 재앙을 목도했다. 이 작가는 ‘사피엔스’ ‘지구의 정복자’ 등 몇몇 베스트셀러의 내용도 소개하면서 기후 위기의 현재를 진단했다. 지구의 온도가 현재보다 6도 올라가면 대멸종의 시대가 올 수도 있다는 마크 라이너스의 예측도 소개했다. 지난 대멸종에서 몇몇 종이 사라진 것처럼 이번 대멸종에는 인간이 사라질 것이라는 섬뜩한 경고를 담은 한 책의 내용도 들려줬다. 이 작가는 기후 위기를 우려하는 미술가로서 작품을 통해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창원비엔날레, 금강비엔날레 등에 기후 위기를 주제로 한 작품을 선보였다고 말했다.
“작가가 아닌 지구에서 살아가는 한 구성원으로 조금씩 바꿔나가야 할 습관도 많아요.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고, 탄소제로 활동에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5년 여 전에 전기차로 이동수단을 바꿨고, 사는 아파트에도 태양열 전기를 도입했어요. 미술이든 일상이든 달라진 현재가 우리 아이의 안전한 미래를 만든다고 생각해요.”
이 작가는 최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이 내다보이는 한 건물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작품을 구상하고 있다. 인터뷰 내내 이 작가의 컴퓨터에는 기후 변화의 현재와 곧 닥칠지 모를 암울한 미래를 이야기하는 영상이 이어지고 있었다. 이 작가는 베니스의 산마르코 광장에 거대한 빙하가 거꾸로 잠긴 형태의 작품, 넓은 들판에 빙하를 상징한 거울 형태의 설치미술 등을 하나씩 설명해갔다. 이 작가는 앞서 ‘창원조각비엔날레’에서도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작품으로 빙산이 녹고 있는 형태와 그 모습을 거울처럼 비추고 있는 지구를 형상화한 적도 있다.
“아이를 늦게 낳았어요. 아이를 위해, 미래의 후손을 위해 뭘 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기후 위기에 대한 고민이 더 깊어졌죠. ‘검은봉다리’ 연작도 아이와 함께 만들기도 했어요. 최근 기후 위기를 주제로 한 작품에 집중하는 이유도 미술가로서 메시지를 던지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죠.”
“작가가 아닌 지구에서 살아가는 한 구성원으로 조금씩 바꿔나가야 할 습관도 많아요.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고, 탄소제로 활동에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5년 여 전에 전기차로 이동수단을 바꿨고, 사는 아파트에도 태양열 전기를 도입했어요. 미술이든 일상이든 달라진 현재가 우리 아이의 안전한 미래를 만든다고 생각해요.”
'탄소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려진 굴 껍데기는 어떻게 활용할까? (0) | 2021.12.24 |
---|---|
녹색산업이란 무엇인가? 유망한 녹색산업 으로는 ~ (0) | 2021.12.22 |
가죽을 대체할 친환경 대체품을 만들어요. (0) | 2021.12.21 |
신발은 밑창무늬, 탄소발자국, 물 발자국을 남겨요. (0) | 2021.12.18 |
물 발자국 이란? (0) | 2021.12.17 |